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더위 먹었을 때, 증상부터 대처법까지 한눈에 알아보기

by Mrs.Wisdom 2025. 8. 4.
반응형

 

여름철 야외에서 활동하거나 에어컨 없는 공간에 오래 있다 보면 갑자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속이 울렁거리는 경험, 다들 한 번쯤 해보셨죠? 
“더위 먹었다”는 말로 흔히 표현하지만, 정확히는 ‘열탈진’ 또는 ‘열사병’으로 구분되는 온열 질환일 수 있어요. 
오늘은 더위 먹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빠르게 대처하는 방법, 그리고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생활수칙까지 정리해볼게요!

“더위 먹었다”는 어떤 상태일까?

‘더위 먹었다’는 말은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몸의 체온 조절 기능이 망가진 상태를 의미해요.
특히 땀을 과하게 흘려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급격히 빠져나가면, 혈액 순환과 뇌 기능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죠.

가볍게는 열탈진(heat exhaustion), 심하게는 열사병(heat stroke)으로 발전할 수 있어요.
초기 대처를 놓치면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가볍게 봐선 안 됩니다!

더위 먹었을 때 나타나는 주요 증상

  • 극심한 피로감과 무기력함
  • 머리 아픔, 어지러움
  • 식은땀, 피부 창백함
  • 속 울렁거림, 구토
  • 근육경련(특히 다리, 팔)
  • 의식 혼미, 말 더듬기 (심한 경우)

※ 열사병 단계로 넘어가면 체온이 40℃ 이상으로 오르며 땀이 멈추고 피부가 붉게 달아오릅니다.
이때는 119에 즉시 연락해야 해요!

 

더위 먹었을 때 이렇게 대처하세요

더위 먹은 증상이 의심된다면, 빠른 조치가 가장 중요합니다.

1. 시원한 곳으로 옮기기

  • 에어컨이 켜진 실내나 그늘진 장소로 이동하세요.
  • 환기가 잘 되는 공간일수록 회복이 빠릅니다.

2. 옷을 느슨하게, 체온 낮추기

  • 꽉 끼는 옷은 벗기고, 겨드랑이·목·다리 접히는 부위에 찬 물수건 대주세요.
  • 얼음 팩이 있다면 사용해도 좋아요.

3. 수분 + 전해질 보충

  • 물, 스포츠 음료, 이온음료 등으로 수분을 보충하세요.
  • 단, 의식이 흐리거나 구토 중이라면 억지로 마시게 하지 마세요.

4. 증상 악화 시 병원 이송

  • 30분 이상 회복되지 않거나, 열이 계속 오르거나 의식이 혼미할 경우 119에 연락해 즉시 병원 이송이 필요합니다.

 

더위 먹지 않으려면? 여름철 예방 수칙 5가지

  1. 물 자주 마시기 (갈증 느끼기 전에!)
  2. 헐렁하고 밝은 색 옷 입기
  3. 한낮(11시~3시) 야외활동 피하기
  4. 햇빛 노출 시 모자나 양산 활용하기
  5. 실내 온도 조절 + 선풍기나 에어컨 활용하기

특히 노약자, 어린이, 만성질환자, 야외근무자는 더위에 더 취약하니 주의가 필요해요.

 

이런 상황일 땐 더 조심!

  • 무더위 속에서 운동이나 야외 작업하는 경우
  • 밀폐된 공간에 장시간 머무를 때
  • 더위에 익숙하지 않은 날 갑자기 외출한 경우
  • 에어컨 없이 생활하는 어르신 댁

이럴 땐 누구보다 빠르게 대처하고, 수분은 항상 챙기도록 해요!

더위 먹는 건 단순히 “컨디션이 나쁘다”의 문제가 아니에요. 제때 대처하지 않으면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상황입니다.
하지만 원인과 증상만 잘 알고 있으면 누구나 더위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여름철, 나와 가족 모두 무더위 속에서도 안전하고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