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에서 지원하는 2025년 출산지원금, 출산장려금, 출산혜택이 15가지나 되는 것 알고 계셨나요? (출산휴가, 주택대출 제외)
주관 부서가 다양하고 정보가 산발적이라 모든 혜택을 챙기기 어려우셨을텐데요, 대한민국 국민에게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혜택을 모두 정리했습니다.
몸도 시간도 마음도 여유롭지 않으실 텐데 이 글 하나로 정부에서 지원하는 관련 혜택 모두 확인하세요. 누가 챙겨주지 않아요. (안 챙기면 나만 손해!!)
출산 전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혜택
1. 엽산제 지원 | 임신 전후 3개월까지 엽산제 지원 |
2. 철분제 지원 | 임신 16주부터 철분제 5개월분 |
3. KTX, SRT 임산부 지원 | KTX: 일반석은 40% 할인, 특실은 일반석 가격으로 이용 SRT: 일반석은 30% 할인, 특실은 30% 할인 |
4. 에너지 바우처 | * 여름(7~9월)에는 전기 요금 차감 * 겨울(10월~익년 5월)에는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연탄, LPG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는 전자바우처(이용권) * 세대원수에 따라 4단계로 차등 지급 |
→ 엽산제, 철분제 구매하려면 1개월에 2만원 내외로 최소 20만원은 아낄 수 있고, 에너지 바우처도 놓치지 쉬운 혜택이죠. 아래 사이트에서는 위의 4가지 혜택을 한 번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출산 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출산지원금
5.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 임신 1회당 100만원 이용권 국민행복카드 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원 지원, 분만 취약자 20만원 추가)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 방문하여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지급신청서 제출 국민행복카드 신청/발급 |
이후 항목들은 출산 이후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현금성 출산지원금
6. 첫만남이용권 | 출생아당 200만원 |
7. 부모급여 | 0세 아동 가정 양육 시 월 100만원 현금 지급 1세 아동 가정 양육 시 월 50만원 현금 지급 *어린이집 이용 시 영유아 보육료 신청 필요 |
8. 양육수당 | 취학 전 24개월 이상 만 5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원 지원 |
9. 아동수당 | 만 8세 미만 아동(0~95개월)에게 월 10만원 지급 |
→ 현금성 출산지원금은 위의 4개로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첫만남이용권은 태어난 직후에, 부모급여는 1세까지, 그 이후에는 양육수당을 만 5세 미만까지, 그리고 부모급여와 양육수당과 별개로 0세부터 만 8세 미만은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시기와 신청사이트가 모두 다르니 아래 링크에서 내용을 확인하세요.
한전에서 지원하는 전기요금 할인
10. 전기요금 할인 | 출생 후 3년간 전기요금 30% 할인 (월 16,000원 한도) |
→ 링크 클릭 후 하단에 '복지할인 신청' 버튼이 있습니다. 저는 이 신청 페이지를 찾는데 한참을 헤맸는데 여러분들은 방황하지 말고 바로 신청하셔요. 그 외에도 한전ON 앱이나 한전 고객센터(국번 없이 123)에 전화하여 신청도 가능합니다. 전기요금할인신청서 미리 준비하셔야 합니다.
국세청에서 지원하는 세액 공제
11. 자녀 세액공제 | 해당 과세기간에 출산하거나 입양 신고한 공세대상 자녀가 있는 경우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 첫째 3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 70만원 |
12.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 소득수준 관계없음 출산 1회당 최대 200만원까지 공제 가능 |
보건복지부에서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저소득층 대상으로 지원하는 의료비, 출산지원금
13.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1) 미숙아 지원대상: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경우 지원한도: 출생 시 체중에 따라 최대 3~10백만원 2) 선천성이상아 지원대상: 출생 후 2년 이내에 선천성이상(Q코드)으로 진단받고, 선천성이상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출생 후 2년 이내에 입원하여 수술한 경우 지원한도: 최대 5백만원 |
14.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 저소득층 가구의 영아(0~24개월) 지원 기저귀(월 9만원), 조제분유(월 11만원) 구매비용을 국민행복카드에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 |
15.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일정기간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산후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 이용권 태아 유형, 출산 순위에 따라 바우처 지원기간이 상이 |
반응형